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10월에 전 달 대비 10조원 넘게 늘었다.
-은행권 가계 대출이 7조 가량 증가.
-제2금융권은 약 3조원 정도.
-은행권 가계 대출 중에선 '기타 대출'이 주가 됐음.
*기타 대출 = 신용대출, 마이너스통장, 상업용 부동산담보대출, 예적금담보대출
왜 늘었을까?
-한은 "원래 10월은 명절 다음 달의 카드 결제 수요, 이사 수요 등으로 대출 증가"
-"BUT ALSO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을 앞두고 미리 대출 땡겼을 가능성도 있다."
-"절차가 까다로운 주택담보대출 대신 신용대출 쪽으로 순회했다는 추정도 가능"
왜 은행권이 늘었을까?
-LG경제연구소 전문가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랑 제2금융권 대출이 느는 것이 보통."
-"은행 대출이 는 건 은행권 문턱 넘을 수 있는 사람만 더 빌렸다는 의미"
-강력한 대출 규제가 역효과를 가져왔다.
-"정부가 집값 잡으려고 대출 조건을 까다롭게 올렸는데"
-"그 조건 맞출 수 있는 고소득자는 계속 대출, 못넘는 사람은 통계에 안잡히는 비제도권에서 대출"
기타대출 외에 대출의 종류는?
=> ???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Dept Service Ratio
-대출을 신청 가구가 보유한 모든 대출의 원리금 상환액 합계를
-연 소득과 비교해 대출한도를 정하는 방식
-주택대출과 신용대출·전세대출 등 모든 가계 대출에 적용된다.
-주택담보대출은 원리금 상환액, 나머지 대출은 이자 상환액만 합산하는 현행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보다 더 엄격하다.
'데일리 메뉴판 > #금융+유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이슈] 세금 · 건보 · 연금 지출 월 100만원 넘었다 2018.11.23. (0) | 2018.12.06 |
---|---|
[국내이슈] 채권금리, 해외 입김 커졌다 2018.11.20. (0) | 2018.12.05 |
[국내이슈] 오르는 금리, 고정금리 대출에도 불똥 2018.11.19 (0) | 2018.12.05 |
[국내이슈] 유가 폭락의 여파 2018.11.15. (0) | 2018.12.05 |
[경제이슈] 국민연금 '소득 대체율 50% 목표', 변경 가능. 2018.11.14. (0) | 2018.1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