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데일리 메뉴판/#금융+유가

[국내이슈] 채권금리, 해외 입김 커졌다 2018.11.20.

by FRNK_KIM 2018. 12. 5.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외국인 투자자가 보유한 역내 채권 비중이 커졌다.

-채권금리가 자국 경제 상황이나 통화정책 외에도 글로벌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 정상화 & 미 · 중 무역분쟁 심화로 기초 경제 여건이 취약한 일부 신흥국에서 상당 규모 자본 유출

-대거 유입된 외국인 채권 자금이 대규모 유출로 반전되면 금융 · 외환 시장 불안이 확대될 것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BUT 아시아 · 태평양 국가 채권시장 발달엔 긍정적. 금리 중심의 통화정책 운영 체계가 원활이 정착하는데 기여.

-외국인 채권 투자가 크게 늘면서 단기 은행 차입과 주식 투자에 의존하던 외자 유입 경로도 다양화됐다고 평가.





채권이란?

채권은 정부공공단체와 주식회사 등이 일반인으로부터 비교적 거액의 자금을 일시에 조달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차용증서()이며, 그에 따른 채권()을 표창하는 유가증권()이다.  
 
채권은 상환기한이 정해져 있는 기한부 증권이며, 이자가 확정되어 있는 확정이자부 증권이라는 성질을 가진다. 그리고 채권은 대체로 정부 등이 발행하므로 안전성이 높고, 이율에 따른 이자소득과 시세차익에 따른 자본소득을 얻는 수익성이 있으며, 현금화할 수 있는 유동성이 크다. 이러한 특성에 의하여 채권은 만기(滿)와 수익률()에 따라 주요한 투자자금의 운용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채권은 대규모 자금조달수단이라는 점에서 주식()과 유사하기도 하다. 그러나 채권은 타인자본이며, 증권소유자가 채권자()로서 이익이 발생하지 않아도 이자청구권을 갖고, 의결권의 행사에 의한 경영참가권이 없고, 상환이 예정된 일시적 증권인 반면 주식은 자기자본이며, 증권소유자가 주주()로서 이익이 발생하여야 배당청구권을 갖고, 의결권의 행사에 의한 경영참가권이 있고, 장차 상환이 예정되지 않은 영구적 증권이라는 점에서 크게 다르다.

채권은 발행주체에 따라 국채()·지방채()·특수채()·금융채()·회사채(), 이자지급방법에 따라 이표채()·할인채()·복리채(), 상환기간에 따라 단기채()·중기채()·장기채(), 모집방법에 따라 사모채()·공모채(), 보증유무에 따라 보증사채()·무보증사채() 등으로 분류된다.

채권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요소는 채권수익률()이다. 채권수익률이란 채권에 투자하여 얻을 수 있는 수익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이며 예금의 이자율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발행수익률, 시장수익률, 실효수익률 등으로 구분된다. 그 가장 큰 변동요인은 채권의 수요와 공급인데, 주로 공급보다는 수요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그것은 채권의 공급은 일정한 계획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반면에 채권의 수요는 채권의 가격에 탄력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채권의 가격은 만기, 발행주체의 지급불능 위험과 같은 내부적 요인과 시중금리, 경제상황과 같은 외부적 요인 등에 의한 수요와 공급의 추이에 따라 결정되며 수시로 변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채권 [bond, 債券] (두산백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