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293 [요약] 택시기사 월급제 도입? | 20181215 현재도 월급제이긴 하다. 때문.-1997년 도입-기사가 운송 수입 전액을 업체에 주고 월급을 받는다-하지만 이 월급에서 사납금을 제외하고 준다 사납금의 폐해?-하루 사납금 13만원-한달 운행일 20일로만 쳐도 260만원-결국 운행을 오래 뛰게 된다 시대가 바뀌었다?-옛날엔 회사 밖에서 기사가 일을 하기 때문에 일괄 사납금을 걷어 일정 수익을 확보했다-하지만 이제는 GPS 등으로 이동 거리를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미터 수 등으로 세분화해서 받아야 하지 않을까 월급제가 도입되면?-현재 최저임금보다 기사들은 못받고 있다-택시 기본요금이 오를지도 더불어민주당과 정부가 14일 택시업계의 월급제 전면 도입 방안을 적극 추진하기로 하는 한편 택시·카풀을 둘러싼 논의를 이달 안에 마무리 짓겠다고 밝혔다. 현재도 택.. 2018. 12. 18. [요약] 롯데 캐피탈 매각 | 20181217 왜 매각하는가?-지주사 전환 과정에서 공정거래법 준수하겠다는 의지로 보임-현행 공정거래법상 비금융지주회사는 금융회사 지분 보유 금지-지주회사 계열사도 금융회사 지배금지-호텔롯데가 지주사 체제 밖에 있어서 꼼수로 넘길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음 지주사? 지주회사!-자회사의 주식을 전부 또는 지배 가능한 만큼 매수해서-합병하지 않고-지배하는 회사-경영 효율성 높일 수도 있으나 경제력 집중을 심화시키는 부작용도 있음-이에 대한 VERY GOOD 설명 =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45808 지주회사 하면 뭐가 좋아? 알아갈 것-비금융지주회사는 금융회사 지분 보유 안되는구나-비금융지주회사 밑의 자회사도 금융회사 지분 보유 안되는구나 -지주.. 2018. 12. 17. 히타치, 송배전 세계 1위 ABB의 전력사업부 인수 | 20181214 송배전 분야란?-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기업이나 가정으로 보내는 사업 인수하면?-인수하면 히타치는 세계 1위가 된다.-세계 무대는 유럽 지멘스, 미국 GE, 중국 국가전망, 일본 히타치 구도로 재편 인수 이유는?-IT시스템 부문과의 시너지 기대-히타치의 매출과 수익 20% 이상이 IT시스템 부문-앞으로 IoT 사업이 커지면 안정적 전력 공급이 관건.-신흥국 전력시장 진출 가속화 목적도 있음.-일본 국내 시장 점유율은 이미 90% 육박. 해외는 중국이 앞서는 중.-그래서 규모를 키우려고 하고 있다. 일본 히타치가 송배전 분야 세계 1위인 ABB의 전력사업부 인수에 나섰다. 현재 협상이 진행 중이며 인수 금액은 6000억~8000억엔(약 6조~8조원) 규모에서 결정될 전망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 등 일본 언.. 2018. 12. 14. 미중 화해무드, 중국이 양보하나 | 20181214 중국의 화해 제스쳐-미국산 대두 2000억원어치 이상 수입-'중국제조2025'도 수정할 계획 중국제조 2025-로봇, 항공우주, 전기차, 반도체 등 10개 하이테크 제조업에서-기술 자급자족을 달성해-제조업 초강대국으로 발전하겠다는 전략-미국은 '기술 도둑질'에 따른 불공정 행위라고 불만 제기 수정안-중국 기업 비중과 역할 낮추고-외국 기업 참여를 더 많이 허용하는 쪽으로 시점은?-2019년 초 중국 류허 부총리가 방미-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합의가 가까워지고 있다'고 인정. 미 · 중 무역분쟁 '치킨게임'의 승자는?-양측 모두 피해-하지만 중국 타격이 더 커보임-중국 경제성장률은 지난 3분기 6.5% 기록.-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2009년 1분기 6.4% 이후 최저 수준. 유화 제스쳐 구체적 내.. 2018. 12. 14. SKT '옥수수' 분사 추진, 한국식 '넷플릭스' 되나 | 20181214 SKT가 옥수수 투자 유치 -싱가포르텔레콤 / 싱가포르투자청과 재무적 투자 유치 협의중-가입자는 많지만 대부분 지상파 & CJ 컨텐츠라 유료 가입자는 적다-가입자는 914만명, 월 순방문자는 626만명.-11번가도 SK플래닛에서 분리돼 투자 받고 이커머스 업체로 자립 중. SK텔레콤이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OTT) 옥수수에 추가 투자 유치를 시도하며 미디어 콘텐츠 사업 강화에 나섰다. 확보한 투자금으로 콘텐츠 제작 능력을 키우고 옥수수를 '한국판 글로벌 OTT 넷플릭스'로 발전시키겠다는 구상이다. 13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옥수수를 운영하는 SK브로드밴드와 모회사 SK텔레콤은 옥수수 확대를 위해 재무적 투자자(FI) 유치를 시도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싱가포르텔레콤이나 싱가포르투자청(GIC) .. 2018. 12. 14. 현대차 수소차 '넥쏘'는 유럽에서 잘나간다 | 20181214 넥쏘는 안전하기까지 해!하고 홍보중-유럽 신차 안정성 평가 프로그램 '대형 오프로드' 부문에서 최우수 차량 선정.-영국 정부와 EU에서 인정하는 신차 평가 프로그램. 1997년부터 실시. 넥쏘 판매량은?-2017년 3월 국내 출시 이후 총 587대 팔림-해외에선 총 194대가 팔렸는데 72대가 유럽 실적. 현대자동차 수소전기차 넥쏘가 유럽에서 가장 안전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으로 인정받았다. 그동안 수소전기차의 안전성 때문에 구매를 망설였던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구매에 나서는 중요한 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13일 현대차는 올해 3월 출시한 수소전기차 넥쏘가 유럽의 신차 안전성 평가 프로그램인 유로 NCAP '대형 오프로드' 부문에서 2018년 최우수 차량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과거 친환경 차량들이.. 2018. 12. 14. 카카오 카풀 정식 서비스 연기 | 20181214 카카오 카풀 정식 서비스 연기-12월 7일 시범서비스를 시작하며 17일 출시를 공언했었다.-하루 2회 운영으로 제안했으나 택시 업계 반발-내년으로 결국 정식 서비스 미뤄져. '우버 영업금지법'-2015년 카셰어링 서비스를 제한하는 법안이 통과된 이후 발전이 없다. 우버는 어떻게 됐더라?= 2013년 진출, 2014년부터 영업 시작했다가 2014년 12월에 서울시가 '우파라치' 제도 시행= 2015년 2월부터 무료인 '우버X' 출시. 일단 승객은 무료로 탑승하고 운행비는 우버가 드라이버에게 주는 식으로 '맛'을 들이게 하려고 했음. = 그러나 서울은 도로가 과포화에 대중교통비와 택시비가 싸다.= 그래서 프리미어 택시 서비스 '우버 블랙' 정도가 돌파구였으나 '카카오택시'에 밀림= 결국 2015년 3월 서비.. 2018. 12. 14. 조선업 실적 회복세 | 20181214 현대중공업 연간 목표 초과 달성-방위사업청과 최신예 호위함 2척 건조계약 체결-올해 들어 누적 153척, 133억달러 규모 수주 기록-조선업 침체 상황에서도 기술력 바탕으로 목표 조기 달성 삼성중공업-오세아니아 선사로부터 2112억원 규모 LNG운반선 1척 수주-실적을 연간 목표 금액의 67%까지 달성. 한진중공업-해군과 다목적 훈련지원정 등 680억원 규모 계약 체결 중공업?기계로 둔중한 물체를 만드는 사업. 금속공업, 기계공업에 20세기 들어 화학공업, 전기공업(전력공업)도 포함. 그래서 '중화학공업'이라고도 많이 부름. 한국의 대표적 중공업체?-포스코-현대중공업 = 조선 · 해양플랜트-두산중공업 = 화력 · 원자력 설비, 담수플랜트-한진중공업 = 조선, 건설업-삼성중공업 = 조선업-대우조선해양 = .. 2018. 12. 14. IBK투자증권, 100년 강소기업 키운다 | 20181214 '백동 포럼(백년 동행 포럼) 창립총회를 IBK투자증권 여의도 본사에서 개최-IBK투자증권이 인증한 '베스트챔피언' 기업들을 중심으로-대기업과 대학, 유관단체들이 자문단으로 참여해-정보를 교류하고 공동 사업 기회를 모색하게 된다. IBK투자증권 김영규 사장-국내 기업 수의 99% 차지하는 중소기업 위상 제고를 위해 노력할 것-중소 · 벤처기업이 코스닥과 코스피로 진입하는데 사다리 역할을 할 것.-신입사원 연합채용, 직원 · 조직 교육 & 연수 프로그램, 기업금융 및 상장 지원 컨설팅 등등 지원. IBK투자증권이 중소기업·대기업·대학 간 네트워크 포럼을 발족하며 중소기업의 자본시장 파트너로서 본격 출항을 알렸다. 13일 IBK투자증권은 서울 여의도 본사에서 중소기업의 성장 지원과 위상 제고를 위한 네트워크.. 2018. 12. 14. 문 대통령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 | 20181214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정부는 2022년가지 스마트 공장 3만개 구축-국내 10인 이상 중소 제조기업 6만 7000여개 중 절반에 해당하는 수치.-스마트 산업단지 10곳 조성-산업재해 30% 감축, 일자리 6만6000여개 증가, 매출 18조원 증가 예상 국책 은행 참여-KDB산업은행 1조원 투자금 지원-IBK기업은행 각 5000억원 투자금 지원다. 대기업 역시 참여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대기업-스마트 공장 구축 비용 12억 6000만원 지원-앞으로 정부 30% 대기업 30% 해당 중소기업 40% 비율로 스마트 공장 설치 비용 분담할 모델 계획 중.-상생형 모델이라고 부른다. 실제 이번 정부의 제조혁신 전략에는 대기업의 참여가 상당수 포함돼 있다. 삼성전자, 삼성디.. 2018. 12. 14. 이전 1 2 3 4 5 6 7 8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