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AM (Random Access Memory)
장점 = 자유롭게 쓰고 지울 수 있는 공책 같은 개념
단점 = 전원이 차단되면 저장되었던 정보가 사라진다
종류
-D램(Dynamic RAM)* = 우리가 흔히 말하는 '램'. '동적 램'이라고도 한다. 주기적으로 충전해주지 않으면 방전됨. 속도가 SRAM보단 느리지만 구조가 간단. 집적도*를 높일 수 있음. 가격이 낮아 대용량 기억장치에 많이 이용된다.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주류여서 비중이 매우 크다.
-S램(Static RAM) = 트랜지스터가 D램보다 많아 구조는 복잡하지만 속도가 매우 빠르다. 값이 매우 비싸서 빠른 속도의 CPU와 연동되는 캐시 메모리로 주로 사용.
(칩은 외관상 차이가 RAM과 없어보인다)
2. ROM (Read Only Memory)
장점 = 전원이 끊어져도 정보가 저장되는 불휘발성(non-volatile) 기억장치.
단점 = 자유롭게 쓰고 지울 수는 없다
종류
-CD롬 (엄밀히 말해 ROM의 종류로 편성하기는 애매하나 일반인들에게 가장 친숙한 형태의 저장장치이다)
3. 플래시 메모리
장점 = RAM과 달리 전원이 차단되어도 정보가 유지된다. 그리고 ROM과 달리 정보의 입출력이 자유롭다. 2001년부터 USB드라이브로 사용. 이후에도 여러 모바일 장치의 저장장치로 사용.
단점 = 기술개발 비용이 높아서 가격이 비싸다. 그러나 수요의 증가로 최근에 가격이 많이 낮아지고 있다.
종류
-낸드NAND형 = 저장용량이 크다. 하드디스크 대체 가능. 음성이나 화상 저장용으로 적합.
-노어NOR형 = 처리 속도가 빠르다. 대용량은 어렵지만 데이터 안정성이 확보.
-원낸드플래시One-NAND-Flash형 = 낸드형의 저장용량과 노어형의 속도를 동시에 구현하는 제품
?반도체 소자는 뭘로 만들어?
-주로 DRAM과 플래시메모리가 사용된다.
다음에 또 봬요!
집적도
= 1개의 반도체 칩 안에 있는 소자의 수
우리나라의 D램 의존도
-반도체 수출 의존율은 2018년에 지난해 대비 약 17%에서 올해 약 21%까지 오히려 증가했다.
출처: http://hyehwalab.tistory.com/62 [이슐랭 가이드]
'시그니쳐 메뉴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리. 대한민국 13대 주력사업+수출 품목 비중 순위 (0) | 2019.04.02 |
---|---|
정리! QR결제는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 (0) | 2019.01.08 |
[정리] 원유의 종류 (0) | 2018.12.20 |
[정리] 연동형 비례대표제란? | 20181217 (7) | 2018.12.18 |
[상식]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차이는? (0) | 2018.12.05 |
댓글